비제바노 듀칼레광장의 공간구성과 투시도적 시각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000, Vol.16 No.4, pp.51-57.

다방면의 공간인식을 보여주는 사방전도

출입구 1에서의 경관

출입구 2로 접근할 때의 경관

출입구 3에서의 경관

설명 discription

비제바노의 듀칼레 광장을 중심으로 투시도적 시각체계에 따른 공간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시조직체계와의 관계에 의한 외적인 체계보다는 광장자체의 미학적 가치가 우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학적 가치는 내부의 주관적 관찰자를 가정한 투시도적 시각체계가 공간의 통합과 분절을 조절하는 내적 체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공간구성과 인식에 있어서는 르네상스시대의 이상적인 투시도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일소점 투시도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투시도적 시각체계라는 공간구성의 내적 체계가 기존 도시조직 속에 잠재된 외적체계와의 사이에서 미묘하게 조율됨으로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가로와 광장이 만나는 방식과 지형적인 조건, 경로의 구성에 따른 동선에 의해서 촉발되는 인간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행태가 결국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함으로서 광장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러한 내, 외적 체계의 조율에 의하여 도시와 건축의 관계는 하나의 유기적 체계를 이루면서 보다 감동적인 공간의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해석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