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궐도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2022, 86호, pp.

백악산과 응봉지맥의 지형 스케치

창덕궁 전경 스케치

동궐도에 표현된 지형지세 분석도

창덕궁 옥류천 일원 스케치

설명 discription

조선 시대 말기에 그려진 동궐도는 창덕궁과 창경궁의 건물들을 배경 산세와
함께 그려낸 궁궐 기록화로서 당시의 궁궐 상황과 그 시대 표현 양식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거기에는 당시 궁궐 내에 존재하던 많
은 건물들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져서 오늘날 그 궁궐들의 보수와 보존 관리 등
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실제 건물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주
변의 지형적 측면에서 실제와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건물의 인상을 부각하기
위해 여러 기법을 혼용하여 부각되게 하고 세부 표현에 있어서도 실제 모습과 달
리 상징적인 방식이 구사되었다. 필자는 그러한 차이와 표현 양상을 자세히 살펴
보면서 동궐도가 제작 의도에 따라 표현 대상을 재구성하고 회화적 효과를 살리
고자 한 결과물로 보게 되었다. 필자는 그를 증명하기 위하여 동궐도에 표현된
요소들을 실재와 비교하여 화면의 구성 특징을 분석하고 건물 등의 세부적 표현
특징을 찾아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