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의 세장형 필지와 도시조직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8, Vol.24, No.10, pp. 149-156

설명 discription

옛 하노이 지역의 독특한 도시경관과 매력은 세장형 필지에서 비롯된다. 네 도시조직에 대한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도시건축유형학적 사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구법의 변화와 기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좁고 깊은 필지의 한계 안에서 세장형 필지의 구속력은 지속된다. 베트남 전통목조와 조적조 혼성구법의 건물들이 만든 전통 도시조직을 바탕으로, 그 위에 프랑스 식민시대의 서구식 조적조의 프랑스 식민양식건축이, 그리고 통일 베트남시대에는 다시 간략RC구조의 중층 현대건물들이 건물들이 새로 지어지면서 혼성적인 도시조직을 만들고 있다. 세장형 필지의 지속과 건물의 변동이 옛 하노이 지역 도시조직의 형태적 특성이다.

둘째, 세장형필지에는 길에 면하려는 치열한 경쟁과 깊은 내부의 긴장감이 동시에 존재한다. 깊이 60미터에 이르는 냐옹이나 6~7층 높이로 적층된 미니호텔에 이르기까지, 그 경쟁과 긴장감은 비슷하다. 극한에 가까울 정도로 좁은 폭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결과 각 필지의 형태 변화에도 불구하고 길과 건물이 만나는 방식, 곧 표층의 활발함과 역동성은 큰 변화가 없다.

셋째, 세장형 필지의 생성방식은 다음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하나는 길을 중심으로 세장형필지의 폭이 결정된 다음, 안쪽으로 필지가 확장되면서 만들어진 세장형 필지이다. 다른 하나는 블록의 윤곽이 정해진 뒤에 적절한 폭으로 분할된 세장형 필지이다. 전자는 항박거리와 같이 상업가로에 면해 형성된 오래된 전근대의 도시조직이고, 후자는 뷔티쑤안구역이나 짠냐주아집합주택과 같이 주거지를 위해 조성된 근대의 도시조직이다.

네째, 하노이 교외지역에서도 길에 면한 필지에서 간략RC구조의 세장형 건축이 지어지고 있다. 심지어 해발 1600미터의 고산 휴양도시 사파(Sapa)에서도 간략RC구조의 미니호텔과 같은 세장형 도시건축이 반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장형 건축은 도시건축의 유형적 해석에서 벗어나있다. 간략RC구조라는 '쉬운 구축방식의 반복과 진화'라는 일상건축이 갖는 특성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