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력 사회와 정책 전환

설명 discription

우리는 얼마나 회복력 있는 공동체에 살고 있는가? 불확실성과 재난의 시대, 어떤 정책 전환이 필요한가? 기후위기와 재난, 구조적 불평등이 일상이 된 시대. 이 책은 '회복력'을 단순한 복구의 개념이 아닌, 사회·경제·생태 전반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사고 틀로 제시한다. 왜 지금 회복력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위기의 시대를 살아남는 것을 넘어, 함께 살아갈 수 있을까?

『회복력 사회와 정책 전환』은 여덟 명의 연구자가 각자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회복력의 관점에서 응답한다. 회복력의 개념과 원칙, 정책 전략을 정리한 총론부터 지역 거버넌스, 이주민과 공동체, 국공유지, 생태 정책, 사회연대경제, ESG, 마을연금 사례까지,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실천적 대안을 탐색한다.

첫 번째 권 『회복력과 전환』에 이은 이 책은 회복력을 단순히 이론에 그치지 않고 삶과 정책의 언어로 풀어낸다. 마을이 연금의 주체가 되고, 시민이 위기 대응의 중심이 되며, 토지와 숲, 공동체가 회복과 연대의 공간으로 다시 구성되는 이야기들. 작은 실천과 구조적 전환이 만나는 지점에서, 우리가 만들어갈 지속가능한 사회의 방향을 묻는다. 지금, 우리는 무엇을 회복해야 하는가? 그리고 누구와 함께,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

4장 국(國)·공(公)유지의 공(共)유지적 전환 | 정기황
1. 들어가며 : 두 발을 땅에 디디고 살아가기 위해
2. ‘국(國)’과 ‘공(公)’과 ‘공(共)’의 차이
3. 국유지 불하(拂下)와 공익
4. 공동체와 부동산의 치환
5. 나가며 : 국가 소유의 사유지역에서 공동체가 사용하는 공유지로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