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djustment-Type of Urban-Architecture in JAHAMUN-gil Areas
본 연구는 1910-45년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현재(2007년)까지 근대화의 충격Shock of Modernization에 의해 변화된 도시·건축의 적응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도시는 인간의 행위를 담아내는 인간의 집적체이다. 또한 도시는 이 모든 것을 각각의 켜Layer에 기록하고 누적累積해 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켜의 기록-당시 법제를 기반으로 고지적과 기록을 통해 당시 도시의 구조와 형상의 변화를 추정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변화된 도시의 구조와 형상을 비교·분석하는 기록이다-에 주목한다. 특히, 조선 초기부터 경복궁과 사직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역사지역인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근대화 되는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도로 주변의 도시형한옥을 중심으로 도시·건축이 주변환경Context의 변화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목적 = 2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 연구의 범위 = 4
2. 연구의 방법 = 6
제3절 연구의 개념 및 용어의 정의 = 7
1. 근대화의 충격Shock of Modernization = 7
2. 도시건축의 적응유형Adjustment-Type = 9
제2장 서울의 도시계획과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형성 과정 = 17
제1절 일제강점기 이전의 도시계획과 자하문 길 주변지역 = 21
제2절 일제강점기 도시계획과 자하문 길 주변지역 = 35
제3절 일제강점기 이후의 도시계획과 자하문 길 주변지역 = 55
제3장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도시조직의 변화 = 63
제1절 길의 변화 = 69
1. 도시조직의 단순화 = 69
2. 도로에 면한 건물들의 상업화 = 73
3. 골목길의 사유화·내부화 = 76
제2절 필지의 변화 = 78
1. 필지의 대형화 = 78
제3절 건물의 변화 = 79
1. 건폐율의 극대화에서 용적률의 극대화로의 변화 = 79
제4장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건축의 변화 = 81
제1절 한옥의 변화 = 81
1. 한옥의 '칸(間)'으로 분화된 상가 = 81
2. 주상복합 한옥 = 82
3. 한옥의 근대적 상업공간화 = 84
4. 한옥 공간의 대형화 = 85
제2절 비한옥의 변화 = 87
1. 기존 도시조직과의 관계 속에서의 변화 = 87
제5장 자하문 길 주변지역의 도시건축 적응유형 분석 = 89
제1절 도시 적응유형 = 89
1. 자하문 길 = 90
2. 옥류동 물길(누하동 1번지 일대) = 91
3. 금천시장 길 = 93
4. 통인시장 길 = 94
제2절 건축 적응유형 = 96
1. 제1기 1910-1962년 = 100
2. 제2기 1962-1993년 = 104
3. 제3기 1993-2007년(현재) = 108
제6장 결론 = 111
참고문헌 = 115
부록 = 121
ABSTRACT = 161